FMS 2025 - 전시

올해의 FMS도 종료되었습니다. ISSCC, IEDM, IMW 등의 IEEE Conference나 USENIX FAST등 에서도 많은 정보가 발표되지만, 저는 FMS가 가장 맘에듭니다.
컴퓨터를 취미로 두고 있는 사람들이 Computex에 참가하는 것이 희망사항이라고 한다면, 저는 FMS에 참가하는 것이 희망사항일 정도로 말이죠.

아무튼 이러한 행사들은 국외, 특히 FMS의 경우엔 미국의 산타클라라에서 열립니다. 학생의 신분이 아니라 일정 수입이 있는 사회인이더라도, 가볍게 놀러가기엔 너무 멀고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죠. 고등학생 때 다녀온 수학여행도 정부의 지원을 받았지만 몇 백 만원이라는 돈이 들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쉽사리 가볼 만한 행사는 절대 아닙니다.

결국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여러 곳에서 보도하는 자료와 공식 자료를 가지고 간접 체험을 할 수 밖에 없죠. 그래도 한 번 정리해보도록 합시다. 이번 게시물은 발표가 아니라 전시에 집중을 하겠습니다. 

FMS 2025 Floor Plan

SanDisk에서 제공하는 FMS 2025 부스 배치도입니다.

여느 때와 다름없는 대형 NAND 공급자들인 Micron, SK hynix, KIOXIA(배치도에는 KIOIA로 오타가 나 있네요), Samsung, SanDisk가 보입니다. 이외의 대형 부스를 마련한 곳은 Silicon Motion, FADU 정도가 눈에 띕니다. 

Western Digital - HDD라고 표기된 부스도 보일텐데요, SanDisk가 분사된 지금도 WD는 SSD와 어느정도 관련이 있습니다. 플래시 스토리지 공급자이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로 SanDisk의 분사 소식이 나오고 스토리지 플랫폼은 어떻게 되나 궁금했는데, WD가 그대로 보유 중입니다. NVMe-oF를 사용하는 AFA(All Flash Array)는 SSD와 충분히 관련있기에 이를 토대로 FMS에 나온 것이 아닐까 하네요.

그 밖에도 ASRock Rack, AIC, Celestica, Dapustor, YMTC, Neo Semiconductor, GRAID, Pliops, VergeIO 등의 익숙한 기업들이 보입니다. 자세한 것은 FMS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나, 내년이 된다면 해당 페이지는 내년도 후원사로 바뀌어지겠죠?

 

목차

Samsung

Samsung PM1763 - FMS 2025 © 2025 Samsung Semiconductor.

처음으로 살펴볼 것은 삼성입니다. 행사가 막 종료되어서 일까요? 아직 공식 뉴스룸에는 정보가 올라오지 않았습니다. 추가되는대로 블로그 게시물에도 반영하기로 하며, 현재까지의 소식을 정리해봅시다.

우선 사진에 보이는 PM1763입니다. 작년의 FMS 2024에서 공개한 PM1753의 후속작이며, PCIe 6.0을 지원하는 16채널 SSD입니다. PCIe 6.0 SSD답게 EDSFF 폼팩터로 제공되는 모습인데, U.2나 U.3 폼팩터는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본지의 후속이 되는 다른 포스트에서 다룰 것 같습니다.

Z-NAND와 관련된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전에 Intel Optane에 대항해 개발되고 저도 가지고 있는 983 ZET등의 제품으로 출시된 SCM(Storage Class Memory)급의 NAND입니다. 1세대의 SLC와 다르게 2세대에선 MLC로 개발되리라 기대되었지만, 아무 말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죠. 이러한 Z-NAND를 다시 개발한다는 의지를 보였다고 합니다. 기대되네요.

 

Sk hynix

SK hynix booth - FMS 2025 © 2025 SK hynix Newsroom.

하이닉스 뉴스룸에서 부스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최근 계속해서 밀고 있는 Full Stack AI Memory Provider라는 이미지를 유지하려는 모습이 눈에 들어오네요. 여러 행사에서 보였던 PIM 제품군인 AiMX는 물론이고, CXL 메모리와 Computational Storage Drive도 전시했다고 합니다. 

SK hynix SSD - FMS 2025 © 2025 SK hynix Newsroom.

SSD로 돌아가면, 기존의 PS1010(176L), PEB110(238L)에 이어서 PS1101 245TB도 전시했습니다. 첫 소비자용 QLC SSD인 PQC21도 있다고 하는데, 홈페이지의 이미지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1TB와 2TB 모델이 있으며 PCIe 4.0 x4와 M.2 2230으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덤으로 PCB01과 PVC10도 보이네요.

다만, 최근 특허에서 보였던 LPW-NAND(Low Power Wide I/O NAND)나 HBS(High Bandwidth Storage)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것 같았습니다. 어쩌면 전시된 것 중에 적용된 것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넘어가죠

 

Micron

Micron G9 NAND SSD © 2025 Micron Technology, Inc.

마이크론은 최근에 발표한 G9 NAND를 사용하는 3개의 SSD를 시연했습니다. 블로그에서 다루지 않았던 만큼 한 번 요약해봅시다.

Micron 9650 SSD specifications

9650은 최근에 계속해서 Astera Labs와 협력해 시연하던 그 PCIe 6.0 SSD입니다. 이번 FMS에서도 마찬가지로 함께 시연하였으며, 약 일주일 전에 발표되었죠. PCIe 6.0에 맞추어 U.2 / U.3 SKU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냉각 방식에 최적화된 폼팩터도 눈에 띕니다.

Micron 7600 SSD specifications

7600은 PCIe 5.0 기반의 메인스트림급 eSSD입니다. 7500이 U.3 SKU만을 제공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약간 의아하게 U.2 SKU가 있습니다. 15.36TB 제품의 Rand Write 성능의 왼쪽 정렬이 좀 불편하네요.

Micron 6600 ION SSD specifications

6600 ION은 9650과 다르게 개인적으로 주목됩니다. 마이크론은 QLC를 엔터프라이즈에 도입했었습니다. 5210 ION이라는 제품으로 말이죠. 5000이라는 라인업답게 최초의 QLC eSSD라고 불리는 인텔의 P4320/P4420과 다르게 SATA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품이었습니다.

그리고 소식이 뜸하다가 메인스트림에 해당하는 7000보다 아래의 네이밍, 6500 ION으로 대용량 SSD의 라인업을 늘렸습니다. 하지만 이는 QLC가 아니라 TLC였습니다. "QLC급의 밀집도, 더 좋은 성능" 이라는 컨셉으로 생각되는데, 6500 ION - 6550 ION을 거쳐 출시된 이 6600 ION은 QLC로 복귀했습니다.

그런만큼 전작과의 성능 비교는 자제하는 모양이네요. 30.72TB 모델만 4kB IU로 출시되는 것도 하나의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내년 상반기에 경쟁사처럼 256TB급을 출시한다고 하네요.

이외에도 Cloud Storage Optimized(CSO) NAND에 대한 언급도 있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풀지 않은 것으로 보이네요.

 

KIOXIA

Kioxia LC9 - FMS 2025 © 2025 KIOXIA Corporation.

키오시아는 최근 발표한 LC9에 이어 CM9, CD9P등의 여러 SSD를 시연했습니다. 하지만 가장 주목받은 것은 LC9시리즈겠죠?

LC9시리즈는 2.5"와 E3.S, E3.L 폼팩터로 제공됩니다. E3.S는 122.88TB가 용량의 상한선이지만, 2.5"와 E3.L은 245.76TB이라는 최대 용량을 자랑합니다. PCIe 5.0 x4 기반이며 IU는 16kB로 추정되는데요, BiCS 8 QLC 2Tb Die를 32개 적층해 칩당 8TB 용량을 구현했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BiCS 8 NAND의 구조가 직관적으로 파악될 것 같습니다.

CM9과 CD9P도 BiCS 8 NAND를 사용해 TLC임에도 불구하고 61.44TB의 용량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키오시아는 FMS에서 실제 제품의 시연과 BiCS 8에 대한 홍보를 본격적으로 진행한 것 같습니다. 

 

SanDisk

샌디스크는 올해 초 Investor Day 발표에 대한 시연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많은 연관이 있었습니다.

2025 SanDisk Client Product - © 2025 SanDisk Investor Day.

먼저, 여기서 Value 라인업에 해당하는 SN5100S가 시연되었습니다. 적혀있는대로 BiCS 8 QLC기반이며, M.2 2230과 2280의 폼팩터로 제공됩니다. 

UltraQLC - © 2025 SanDisk Investor Day.

물론, 더 주목받은 부분은 파트너사의 LC9과 같이 256TB급의 용량을 보여주는 UltraQLC 제품군일 것입니다. LC9과 동일한 BiCS 8 QLC NAND를 활용하였으며, LC9보다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이 10TB이상 많다고 합니다. 다만, 컨트롤러는 Stargate라고 불리는 다른 컨트롤러가 사용될 예정입니다.

그외에도 포인트로 언급한 것으로는 Direct Write QLC, Dynamic Frequency Scaling, Data Retention Profile이 있습니다. 가장 앞의 Direct Write QLC는 뭘 말하고 싶은지 이해가 가질 않는데, 실제로 제품의 출시단계가 다가오면 알게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HBF - © 2025 SanDisk Investor Day.

HBF에 대해서는 기조연설로 다루어졌습니다. 다만, 후속이 아니라 이 포스트에 쓴 이유는 하이닉스가 이 규격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는 MOU각서가 체결되었다는 소식 때문입니다. 처음 발표 때는 이전 FMS에서 나왔던 WD의 ReRAM과 같이 사라질까 걱정되었는데, 조금씩 현실성을 보여주려고 노력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Silicon Motion

SSD Controller - © Silicon Motion Technology Corp.

실리콘 모션은 여러 컨트롤러를 시연했습니다. 특히, SM2504XT의 우수한 전력효율을 강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컨슈머용 PCIe 6.0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Tom's Hardware와의 인터뷰처럼 상당한 훗날을 기약하고 있습니다. 

그외에도 USB4 Gen3 x2 pSSD용 컨트롤러인 SM2324, SD Express 컨트롤러인 SM2708도 시연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M8366 Product Brief - © Silicon Motion Technology Corp.

이전의 FMS 2022에서 선보였던 PCIe 5.0기반의 16채널 컨트롤러인 SM8366. 이를 기반으로 하는 MonTitan 플랫폼도 VAST Data, Innodisk 등의 여러 곳에서 활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FADU

FADU FMS 2025 booth - © FADU Technology. 

파두는 PCIe 6.0 컨트롤러인 FC6161을 선보였습니다. 비즈니스 모델의 일환인 FlexSSD와 하이퍼스케일러들의 주도하에 적용되고 있는 FDP에 대한 내용도 보여지는 것 같습니다.

다만, 파두는 처음부터 엔터프라이즈 SSD의 컨트롤러나 턴키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이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낯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만큼 일반적으로 리뷰를 찾아보기도 힘들죠. 
올해 TweakTown이 선보인 eSSD 리뷰에는 재미난 것들이 많았는데, 그 중 하나가 FADU Echo SSD였습니다. 저도 만져보고 싶네요.

이외에도 Meta와 함께하는 기조연설에서는 정말로 며칠 전에 새롭게 올라온 NVMe 2.3의 새로운 기능 중 하나인 Self-reported Drive Power(TP4199)도 발표했습니다. 

 

Etc.

SmartRAID Series - © Microchip Technology Inc.

NVMe RAID부분은 번외로 묶었습니다. 우선, Microchip의 SmartRAID 4300 시리즈입니다. 당연한 흐름이라고 생각되지만, 기존 제품들과 다르게 NVMe SSD를 직접 연결하는 부분이 사라졌습니다. 그래서인지 "RAID Adapters"라는 단어 대신 "RAID Storage Solutoins"라는 단어를 채용한 것도 재밌네요.

SmartRAID 4300 Series Mechanism

위 이미지는 작동 원리의 모식도입니다. IO의 직접적인 흐름은 CPU에서 NVMe 엔드포인트로 연결되지만, RAID 패리티 계산은 카드에 별도로 오프로딩됩니다. 그야말로 RAID 가속기라는 말이 어울리네요.

GRAID SupremeRAID HE - © Graid Technology Inc.

개인적으로 HW NVMe RAID라고 한다면, 저는 브로드컴의 MegaRAID나 인텔의 VROC를 제쳐두고 GRAID의 솔루션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GPU를 사용한다는 방식 때문일까요?

하여튼, GRAID도 이번 FMS에서 새로운 시리즈를 공개했습니다. HPC를 위한 제품군으로, NVIDIA의 A1000이나 A2000을 통해 구동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RAID는 아니지만 관련 솔루션이라 할 수 있는 Pliops의 XDP와 관련된 시연은 물론이고, Neo Semiconductor의 3D X-DRAM을 이용한 X-HBM에 대한 언급도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Closing

작년부터 FMS는 Flash Memory Summit이 아닌, the Future of Memory and Storage로 탈바꿈했습니다. Flash Memory 시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NAND 제조사 중 대형 3사가 DRAM 제조사이기도 하며, 최근에 세분화되고 있는 Storage Hierarchy를 생각해본다면 당연한 일이긴 합니다.

테마도 약간의 변화가 생겨 CXL은 물론이고 Computational Storage를 비롯해 DRAM, HBM까지 다루게 되었습니다. 전시 및 시연에서도 HBM을 비롯한 여러 메모리가 있었지만, 본 글에서는 이를 생략했습니다.

탈바꿈 한 이유에는 AI 워크로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되는데, 현재도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SNIA에서 AI 워크로드와 관련된 표준 프로젝트인 Storage.AI를 만들었으니 중요성의 입증은 다루어진 것이라 봐도 되지 않을까요?

비교적 짧은 글일텐데 작성에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네요. 이후, 자료가 공개 됨에 따라 간략하게 흥미로웠던 발표들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느긋하게 말이죠.

참고로, 다음 SSD 리뷰는 이르면 다음주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기한을 지킬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ㅎㅎ;;

 

This article was updated on

Related post

Ramblings

2025. 08.

첫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참 많은 것을 느꼈죠. 영상 투고까지 취미로 하기엔 내가…